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되다? 돼다?

닷옴

by 김다락방 2019. 4. 18. 18:26

본문

 

오늘의 맞춤법

'되다' '돼다'

 

 

우선, '되어'와 '돼'를 구분할 때 적용되는 맞춤법을 알아볼까요?

 

《한글 맞춤법》 제35항 '붙임 2'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즉, '되어'와 '돼'라는 두 가지 형태의 말이 전혀 다른 두가지의 말이 아니고,

'되다'의 어간 '되-'에 '-어, -어라, -었-' 등이 붙은 '되어, 되어라, 되었-'이 줄어서

'돼, 돼라, 됐-'과 같이 '돼-'의 형태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만 기억하세요!

 

돼 = 되 + 어

돼서 = 되어서

돼야 = 되어야

됐다 = 되었다

 

 

 

따라서, '돼다(되어다)'라는 말은 틀린말이며 존재하지 않습니다.

 

'되다'(O)

'돼다'(X)

 

 

 

그렇다면, 문장 속에서 '되'와 '돼'를 구분해 볼까요?

 

  • 친구가 되다
  • 친구가 어서 = 구가 돼서
  • 친구가 = 친구가 됐다
  • 친구가= 친구가 돼요

 

 

즉, '돼' 속에는 '-어'가 포함되어 있어요.

 

 

'어'를 덧붙여서 말이 된다면 '돼'

'어'를 덧붙여서 말이 되지 않는다면 '되'

 

 

 

 또 한가지 주의할 점 !

 

 

문장의 맨 끝에는 '돼'만 씁니다!

 

 

  • 해도 ?
  • 돼.
  • 너만 .
  • 반드시 훌륭한 사람이 되지 않아도 .

 

 

 

그리고 마지막, 문장 속에서 '되'와 '돼'를 구분하는  TIP 한가지!

 

 

문장 속에 있는 '되-' 혹은 '돼-'를 '하''해'로 바꾸어 읽어보세요!

'하'로 바꾸어 읽었을 때 말이 된다면 → 되

'해'로 바꾸어 읽었을 때 말이 된다면 → 돼

 

 

  • 반드시 훌륭한 사람이 지 않아도 .
  • 반드시 훌륭한 사람이 지 않아도 .

                                          ↑앞 문장은 신경쓰지말고 밑줄 친 부분만 보았을 때 말이 되는지 안되는지를 보세요

 

 

'닷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요? 예요?  (0) 2019.06.06
율? 률?  (0) 2019.05.23
몇일? 며칠?  (0) 2019.04.24
왠지? 웬지?  (0) 2019.04.1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