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맞춤법
"-에요" "-예요"
|
우선, "-에요"와 "-예요"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에요 [어미]
해요 할 자리에 쓰며, 설명·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
-예요 [어미]
1. 해요 할 자리에 쓰며, 설명·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2. 받침이 없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의 다음에 붙는 말.
|
여기서 주목할 점!
왜 '-에요'의 사전적의미가 '-예요'의 사전적의미에 포함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예요"는 "-이에요"의 준말이기 때문입니다.
예요 = 이에요 |
즉, "-예요"에는 보이지않지만 '-이'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예요'를 풀어서 써보면 '-이이에요'가 되는 것이니까
'-이예요'는 틀린 말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정말 구분해야 할 것은
엄밀히 말하자면 "-이에요"와"-예요"입니다.
"-이에요"와 "-예요"의 구분은 간단합니다.
위에서 찾아본 "-예요"의 사전적의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예요'는 받침이 없는 체언의 다음에 붙는 어미입니다.
※ 이것만 기억하세요!
받침이 있는 단어 뒤에는 "-이에요" 받침이 없는 단어 뒤에는 "-예요"
|
학생이에요 (O) 학생예요 (X)
의사이에요 (X) 의사예요 (O)
하지만 원칙을 잘 이해하고 나서 주의할 것은
예외의 경우도 있다는 점!
∨ 예외 첫번째.
"-에요"가 "-이에요"가 아닌 단독으로쓰이는 경우입니다.
보통 "-에요"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항상 단어 뒤에 올 때 조사'이'가 붙어 '-이에요"의 형태로 쓰입니다.
하지만 "-에요"가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가 세가지 있는데,
지금 어디예요? (O) |
[원칙] 받침이 없이 끝나는 단어 뒤에는 "-예요"를 씁니다. |
지금 어디에요? (O) |
[예외] 장소를 나타내는 단어 '어디' 뒤에는 "-에요"를 쓰는 것을 허용합니다. |
저는 쌍둥이예요 (O) |
[원칙] 받침이 없이 끝나는 단어 뒤에는 "-예요"를 씁니다. |
저는 쌍둥이에요 (O) 쟤는 멍청이에요 (O)
|
[예외] '이'로 끝나는 단어 뒤에는 "-에요"를 쓰는 것을 허용합니다. |
그리고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아니에요"는 무조건 '-에요'만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니예요 (X) 아니에요 (O)
|
∨ 예외 두번째.
"-이예요"를 쓰는 경우입니다.
시작부분에서 공부했듯이 "-예요"는 "이에요"의 준말이며 따라서 '이예요"는 틀린말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이예요"를 쓰는 딱 한가지 경우가 있는데
제 이름은 철수예요. |
: 받침이 없이 끝나는 사람이름 뒤에는 원칙대로 받침이 없는 단어 뒤에 쓰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요"를 씁니다.
|
친구의 이름은 시경이예요. |
: 받침으로 끝나는 사람이름 뒤에는 "-이예요"를 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