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에요? 예요?

닷옴

by 김다락방 2019. 6. 6. 01:23

본문

오늘의 맞춤법

 

"-에요" "-예요"

 

 

우선, "-에요"와 "-예요"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에요 [어미]

 

  해요 할 자리에 쓰며,

  설명·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예요 [어미]

 

  1. 해요 할 자리에 쓰며,

  설명·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2. 받침이 없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의 다음에 붙는 말.

 

 

여기서 주목할 점!

'-에요'의 사전적의미가 '-예요'의 사전적의미에 포함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예요"는 "-이에요"의 준말이기 때문입니다.

 

요 = 이에

즉, "-예요"에는 보이지않지만 '-이'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예요'를 풀어서 써보면 '-이이에요'가 되는 것이니까

'-이예요'는 틀린 말이겠죠?

 

  • 학생이예요(=학생이이에요) (X)
  • 선생님이예요(=선생님이이에요) (X)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정말 구분해야 할 것은

엄밀히 말하자면 "-이에요""-예요"입니다.

 

"-이에요"와 "-예요"의 구분은 간단합니다.

위에서 찾아본 "-예요"의 사전적의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예요'는 받침이 없는 체언의 다음에 붙는 어미입니다.

 

 

이것만 기억하세요!

 

 

받침이 있는 단어 뒤에는 "-이에요"

받침이 없는 단어 뒤에는 "-예요"

 

  • 학생이에요 (O) 학생예요 (X) 

  • 의사이에요 (X) 의사예요 (O)

  • 최고이에요(X) 최고예요(O)
  • 뭐이에요(X) 뭐예요(O)
  • 할 것이에요 (O) 할 거예요 (O)

 


 

하지만 원칙을 잘 이해하고 나서 주의할 것은

예외의 경우도 있다는 점!

 

예외 첫번째.

 

"-에요"가 "-이에요"가 아닌 단독으로쓰이는 경우입니다.

보통 "-에요"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항상 단어 뒤에 올 때 조사'이'가 붙어 '-이에요"의 형태로 쓰입니다.

하지만 "-에요"가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가 세가지 있는데,

 

① "어디에요"입니다.

지금 어디예요? (O)

[원칙] 받침이 없이 끝나는 단어 뒤에는 "-예요"를 씁니다.

지금 어디에요? (O)

[예외] 장소를 나타내는 단어 '어디' 에는 "-에요"를 쓰는 것을 허용합니다.

 

② "''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는 경우" 입니다.

저는 쌍둥이예요 (O)

[원칙] 받침이 없이 끝나는 단어 뒤에는 "-예요"를 씁니다.

 

저는 쌍둥에요 (O)

쟤는 멍청에요 (O)

 

[예외] '이'로 끝나는 단어 뒤에는 "-에요"를 쓰는 것을 허용합니다.

 

③ "아니에요" 입니다.

그리고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아니에요"는 무조건 '-에요'만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니예요 (X)

아니에요 (O)

 

 

 

 

예외 번째.

 

"-이예요"를 쓰는 경우입니다.

시작부분에서 공부했듯이 "-예요"는 "이에요"의 준말이며 따라서 '이예요"는 틀린말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이예요"를 쓰는 딱 한가지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가 바로 "받침으로 끝나는 사람이름 뒤"에 쓰일 때 입니다.

 

제 이름은 철수예요.

 

 : 받침이 없이 끝나는 사람이름 뒤에는

  원칙대로 받침이 없는 단어 뒤에 쓰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요"를 씁니다.

 

친구의 이름은 시경이예요.

 

 : 받침으로 끝나는 사람이름 뒤에는 "-이예요"를 씁니다.

 

 

 

'닷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 률?  (0) 2019.05.23
몇일? 며칠?  (0) 2019.04.24
왠지? 웬지?  (0) 2019.04.19
되다? 돼다?  (0) 2019.04.1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