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다락스터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다락스터디

메뉴 리스트

  • 홈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4)
    • LYRIC (13)
    • 알고보면 더 재미있는 (4)
    • 닷옴 (5)
    • 잡학다식 (2)

검색 레이어

김다락스터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닷옴

  • 에요? 예요?

    2019.06.06 by 김다락방

  • 율? 률?

    2019.05.23 by 김다락방

  • 몇일? 며칠?

    2019.04.24 by 김다락방

  • 왠지? 웬지?

    2019.04.19 by 김다락방

  • 되다? 돼다?

    2019.04.18 by 김다락방

에요? 예요?

오늘의 맞춤법 "-에요" "-예요" 우선, "-에요"와 "-예요"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에요 [어미] 해요 할 자리에 쓰며, 설명·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예요 [어미] 1. 해요 할 자리에 쓰며, 설명·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2. 받침이 없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의 다음에 붙는 말. 여기서 주목할 점! 왜 '-에요'의 사전적의미가 '-예요'의 사전적의미에 포함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예요"는 "-이에요"의 준말이기 때문입니다. 예요 = 이에요 즉, "-예요"에는 보이지않지만 '-이'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예요'를 풀어서 써보면 '-이이에요'가 되는 것이니까 '-이예요'는 틀린 말이겠죠? 학생이예요(=학생이이에요) (X) 선생님이예요(=선생님이이에요..

닷옴 2019. 6. 6. 01:23

율? 률?

오늘의 맞춤법 '율' '률' 우선, 알고 넘어가야 할 맞춤법을 확인해봅시다. ≪한글맞춤법≫ 제11항(두음법칙) "본음이 '라, 려, 례, 료, 류, 리'인 한자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에는 두음법칙에 따라서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고,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한자 律(법률 률), 率(비율 률), 栗(밤나무 률)등의 본음은 '률'입니다. 따라서, 단어 첫머리에 오는 때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율'로 표기합니다. 법률 (法律), 율법(律法) 하지만!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자리에 오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률'이라고 표기되지 않고 '율'로 쓰이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두음법칙의 예외는 어떠한 차이로 인해 구분하는지 알아볼까요? ※ 이것만 기억하세요! 받침이 있는..

닷옴 2019. 5. 23. 19:18

몇일? 며칠?

오늘의 맞춤법 '몇일' '며칠' 우선, '몇일'과 '며칠'을 구분할 때 적용되는 한글맞춤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한글맞춤법》 제27 항 '붙임2'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즉, '며칠'이 맞는 표협입니다. 며칠을 '몇일'로 헷갈리기 쉬운 이유는 '몇 년(年)' '몇 월(月)' '몇 개(個)' '몇 사람'등과 같은 단어와 같이 '몇'과 '일(日)'이 결합된 합성어로 생각하여 그 표기가 '몇일'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며칠은 '몇+일'로 나눌 수 있는 단어가 아닙니다. 그 근거는 '몇'으로 표기하는 단어들과 '발음을 하는 방식'을 비교해 봄으로써 알아볼까요? 몇 년 [멷 년 → 면년] 몇 월 [멷 월 → 며둴] 몇 개 [멷 개 → 멷깨] 위의 예를 보았을 때..

닷옴 2019. 4. 24. 19:13

왠지? 웬지?

오늘의 맞춤법 '왠지' '웬지' 우선, '왠지'와 '웬'의 사전적 의미부터 알아볼까요? 왠지 [부사]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 [유의어] 어째, 어쩐지 웬 [관형사] 1. 어찌 된. 2. 어떠한. ※ 이것만 기억하세요! 왠지 (O) 웬지 (X) '왠지' = '왜인지'의 줄임말. '웬지'는 틀린말이며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 문장을 통해 '왠지'가 쓰일 때를 알아봅시다. 오늘은 왠지 기분이 좋아. 오늘은 왠지 무슨일이 일어날 것만 같아. ↑ '왠지'는 부사이기 때문에 문장의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합니다. 그렇다면 '웬'은 언제 쓰는 걸까요? ☞ '왠지'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쓰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리해보시다. '왠'과 '웬'을 구분하는 TIP! '왠'이 쓰이는 말은 ONLY '..

닷옴 2019. 4. 19. 02:30

되다? 돼다?

오늘의 맞춤법 '되다' '돼다' 우선, '되어'와 '돼'를 구분할 때 적용되는 맞춤법을 알아볼까요? 《한글 맞춤법》 제35항 '붙임 2'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즉, '되어'와 '돼'라는 두 가지 형태의 말이 전혀 다른 두가지의 말이 아니고, '되다'의 어간 '되-'에 '-어, -어라, -었-' 등이 붙은 '되어, 되어라, 되었-'이 줄어서 '돼, 돼라, 됐-'과 같이 '돼-'의 형태가 되는 것입니다. ※ 이것만 기억하세요! 돼 = 되 + 어 돼서 = 되어서 돼야 = 되어야 됐다 = 되었다 따라서, '돼다(되어다)'라는 말은 틀린말이며 존재하지 않습니다. '되다'(O) '돼다'(X) 그렇다면, 문장 속에서 '되'와 '돼'를 구분해 볼까요? 친..

닷옴 2019. 4. 18. 18:2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김다락스터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